02 주제 추론

(1) 평가원 출제방향
 
글의 주제와 관련된 어구가 적절하게 반복되어 나오며 글의 대의를 파악하면 문제를 있게 낸다. 매년 2문제씩 출제되어 왔다. 보통 문항은 한글로 선택지가 구성되고 다른 문항은 영어로 선택지가 주어졌는데, 2011학년도 수능부터 2문제 모두 선택지가 영어로 주어졌다. 글의 구성 (, 글의 전개 방식) 따라 주제문은 부분, 중간 부분, 마지막 부분 다양하게 위치할 있다. 또한 주제가 명시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글을 전반적으로 이해를 추론해야 하는 글도 있다. 주제와 관련된 어구(=핵심어) 그대로 또는 다른 말로 재표현(Paraphrasing) 되어서 자연스럽고 적절한 간격으로 반복되어 나온다는 것을 명심하자. 너무 일반적이거나 너무 구체적인 제재가 주제가 되는 문제는 내지 않는다. 또한 3수준에 맞는 추상성을 지닌 제재가 주제가 되는 글을 출제한다.

 

(2) 해결책
주제는 범위가 너무 넓어(too general) 안되고 너무 좁아(too specific) 되며 지문의 내용과 일치해야 한다. , 단락의 내용에 비해 너무 포괄적이어도 안되고 너무 세부적이어도 안되며 적절해야 한다. 하나의 단락에서 하려는 말은 가지 밖에 없다 것을 명심하고 다음 사항들을 점검하자.

첫째, 먼저 무엇에 관한 글인지를 염두에 두고 문장에 주목하라. 문장이 주제문이든 아니든 문장을 읽는 것은 언제나 중요하다. (하나의 단락에서 하려는 말은 가지 밖에 없기 때문이다.)

둘째, 글의 종류를 파악하며 읽자. 물론 글의 종류에 관계 없이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고 문제를 풀어도 되지만, 논설문, 설명문, Storytelling(이야기체 : 소설, 수필, 일화, 경험담, 우화 ) 글의 종류에 따라서 문제풀이 방식을 달리 하는 효율적일 때가 많다. 예를 들어, 논설문이나 설명문은 주제문이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Skimming Scanning 적절히 섞어가며 핵심내용을 파악하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Storytelling 경우는 주제문장이 명시가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읽어가며 풀어야 한다. 글의 종류를 파악하기가 애매한 경우는 크게 논설문과 설명문을 하나의 식구로 분류하고 Storytelling(이야기체 ) 다른 식구로 양분해서 풀어도 된다. (Storytelling 등장인물이 나오고 (예를 들면, ‘I’ 여러 차례 등장하면 storytelling이다.) 스토리가 전개되니까 읽어 보면 알게 된다. 대개 문장만 읽어봐도 대체적인 글의 종류는 파악할 있다. 그것만으로도 문제풀이에는 충분하다.)

셋째, 문장간의 의미관계(=논리관계) 파악하고 예측하며 읽어 나가라. 특히 연결사에 주목하고 연결사를 최대한 활용하라. ð 글의 전개방식을 생각하며 읽자.

넷째, 반복적인 표현이 핵심어라는 것을 알고 반복되는 표현에서 힌트를 찾으라. , 같은 내용이 다른 말로 재표현(Paraphrasing)되어 나온다는 점에 주의하자. Paraphrasing 모든 영어시험에서 가장 중요한 포인트다.

다섯째, 선택지는 A덩어리와 B덩어리로 묶어서 각각에 해당되는 내용을 소거해나가면 답은 명확하게나온다.

 

 

 

주제를 묻는 문제의 오답유형
1)
주제의 범위가 너무 넓거나 너무 좁다. (Too General or Too Specific)
2) 논점일탈의 오류 범하는 (본문에서 언급된 표현(단어)이나 핵심어를 언급했는데 정작 논점은  벗어난 )
) 선택지 구성에서 A, B덩어리에서 A 핵심어를 언급했는데 B 살짝 논점을 벗어난 말을 하는 경우

 

하나의 단락에는 하나의 주제밖에 없다! (O)   하나의 단락에는 하나의 주제문만 있다? (X)
주제문은 하나일 수도 있고 2 이상일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Storytelling(이야기체) 글에서는 주제문이 명시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논설문, 설명문에서는 주제문이 명시될 경우 주제문이 1개일 경우(두괄식, 중괄식, 미괄식) 있고 주제문이 2개인 경우(양괄식) 있고 (실제 글에서는)3 이상인 경우(문어발식?^^) 있다.

 

'수능모의고사 영어 해설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장 제목 추론  (0) 2012.09.24
03장 요지파악  (0) 2012.09.23
글의 전개 방식  (0) 2012.09.21
01장 핵심내용 파악하기  (0) 2012.09.20
수능영어 독해시험 분류  (0) 2012.08.29
posted by whowo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