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 내용 일치 불일치
I Let’s Check It Out
■ Angela Greene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Now forty-seven, Angela Greene spent twenty years in the printing industry, working her way up from running errands to managing her own store. A single mother of two girls, she was nevertheless able to buy her family a house in Richmond. And then the printing company with which she was affiliated shut down, and Greene lost her job. She struggled to make ends meet while on unemployment, had to give up her car, and fought to hold on to her house. Then she heard that the City of Richmond was offering a construction training program. Figuring she would at least learn skills to save money around her own home, she enrolled. That’s how she was introduced to McGeoy and Solar Richmond.
① 열심히 일한 결과 자신의 가게를 운영하게 되었다.
② 가족들이 살 수 있는 집을 Richmond에 마련했다.
③ 인쇄 회사에서 심각한 실수를 저질러 해고되었다.
④ 자동차는 포기해야 했지만 집은 잃지 않으려 애썼다.
⑤ Richmond 시의 건축 연수 프로그램에 등록했다.
해석:
Now forty-seven,/ Angela Greene spent twenty years in the printing industry,/ working her way up/ <from running errands to managing her own store>.//
지금 47세인,/ Angela Greene은 20년을 보냈다/ (어디에서?) 인쇄업종에서,/(그래서?) 열심히 노력하여 심부름하던 일에서부터 자신의 가게 운영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work her way up to + 명사덩어리: 이 때 work는 move gradually의 뜻으로 ‘보통 서서히 어디로 나아가거나 어떤 상태가 됨’을 나타낸다. 여기서는 ‘열심히 일을 해 나아가서 자신의 가게 운영에 이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spent~ , working her way up~. = spend ~ and worked her way up~.
A single mother of two girls,/ she was nevertheless able to buy her family/ a house in Richmond.//
두 딸을 혼자서 키워 왔음에도,/ 그녀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의 가족에게 집을 사줄 수 있었다/ (어떤 집?) Richmond에 있는.
동격의 명사(구), S + V~. 의 문장구조: 이때 앞의 동격의 명사(구)는 원래 부사절을 줄인 것이다.
절로 바꾸면 Although she was a single mother of the two girls, 정도가 된다.
nevertheless: 그렇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syn. nonetheless)
And then the printing company<with which she was affiliated> shut down,/ and Greene lost her job.//
그런데 인쇄 회사가/ (어떤?) ((그런데 그 인쇄 회사와)) 그녀가 제휴하고 있던/ (어쨌다고?) 문을 닫았다,/ 그래서 Greene은 그녀의 직업을 잃었다.//
~ the printing company <with which she was affiliated> shut down 에서
“관계+대명사= 접속사+대명사”이다. 이 때 접속사는 “그런데”라고 해석하면 거의 다 맞아 들어 간다. 또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 받는 것이니까 선행명사와 같다.
그래서 with which = and with it[the company] 해석: “그런데 그 회사와”
관계대명사가 하는 역할은 앞에 나온 명사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것이다.
위의 문장에서 하려는 말은 the printing company shut down(그 인쇄 회사가 문을 닫았다.)이다. 그런데 어떤 인쇄 회사인지 독자들이 잘 모르기 때문에 with which she was affiliated로 구체적으로 설명해주는 것이다. (어떤 인쇄회사? 아~. 그녀가 그 제휴한)
be affiliated with : (더 큰 회사, 기관 등과) 제휴[연계]하다
위의 and는 ‘그래서’의 의미
She struggled to make ends meet/ while on unemployment,/ had to give up her car,/ and fought to hold on to her house.//
그녀는 빚지지 않고 살아가려고 노력했다/(언제?) 실직 중에,/ (그리고?) 그녀의 차를 포기해야 했다,/ (그리고?) 그리고 분투했다/(왜?) 그녀의 집을 잃지 않기 위해.//
struggle to do/ for sth: 분투[고투]하다, 몸부림치다, 허우적[버둥]거리다
make (both) ends meed 겨우 먹고 살 만큼 벌다, 빚지지 않고 살아가다
Many families struggle to make ends meet. (많은 가정들이 아등바등 돈을 벌어 겨우 먹고 산다.)
while (she was) on unemployment,
hold on to her house : (자기에게 유리한 것을) 고수하다[지키다]; (팔거나 주지 않고) 계속 보유하다
Then she heard/ [that the City of Richmond was offering a construction training program].//
그 때 그녀는 듣게 되었다/ (뭐를?) Richmond시가 건축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이라는 소식을. //
be동사 + ~ing: 미래를 나타낼 때는 “예정[계획]된 미래”를 나타낸다
Figuring [she would at least learn skills to save money around her own home],/ she enrolled.//
그녀는 적어도 자신의 집 주변 여기저기에 드는 돈을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을 배울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등록하였다.
√ing ~, S + V~. 이런 구조의 분사구문은 종속절의 주어와 주절의 주어가 같아서 앞의 √ing로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해를 할 때는 √ing 를 첫 번째 동사로 보고, 주절의 S가 V(주절의 본동사를 2번째 동사로 본다)하는 순서로 이해하면 된다.
이 때 √ing와 S + V의 관계를 논리적으로 파악하면 “이유, 양보, 부대상황, 조건, 시간” 중의 하나로 파악이 된다.
That’s how she was introduced to McGeoy and Solar Richmond.//
이렇게 해서 그녀는 McGeoy and Solar Richmond를 처음 접하게 되었다.//
That’s how: 이렇게(해서) That’s why: 그래서 That’s because: 왜냐하면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II Exercise
1. biting lice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All biting lice are small insects, with a body flattened from top to bottom. This shape helps them move easily among fur and feathers and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ir hosts to remove them. As their name suggests, they have large jaws for biting through the feathers and fur. Like many parasites that live permanently on their host’s body, these lice do not need good eyesight. As a result, their eyes are very small, and are even absent in some species. Similarly, biting lice do not have wings since there is little use for them. Many biting lice have strong hooks on their feet to allow them to hold on to feathers or hair. These claws can be used to distinguish species that live on mammals, which have one claw on each foot, from species that live on birds, which have two claws.
① 몸통 전체가 납작해서 이동이 쉽다.
② 물기에 적합하도록 큰 턱을 갖고 있다.
③ 눈이 매우 크고 시력이 뛰어나다.
④ 깃털이나 털에 달라붙도록 발에 고리가 있다.
⑤ 종에 따라 발에 붙은 발톱의 개수가 다르다.
해석:
All biting lice are small insects,/ with a body flattened <from top to bottom>.//
모든 biting lice는 작은 곤충들이다,/ (어떤?) 위에서부터 아래까지 납작한 몸통을 가진.//
lice : 이 (louse의 복수)
This shape helps them move easily among fur and feathers/ and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ir hosts to remove them.//
이런 모양은 도움을 준다/ 그들이 털과 깃털 사이를 쉽게 이동하는데/ 그리고 더욱 어렵게 한다/ (뭐를?) 숙주가 그들(biting lice)을 제거하는 것을.//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ir hosts to remove them. 가목적어, 진목적어 구문
As their name suggests,/ they have large jaws <for biting through the feathers and fur>.//
이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그들은 큰 턱을 가지고 있다/ (어떤 큰 턱?) 깃털과 털 사이를 뚫고 물기에 적합한.
Like many parasites/ that live permanently on their host’s body,/ these lice do not need good eyesight.//
많은 기생충들과 마찬가지로/ (어떤 기생충들?) 숙주의 몸에 영구히 사는,/ 이 이들은 좋은 시력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As a result,/ their eyes are very small,/ and are even absent in some species.//
그 결과,/ 그들의 눈은 매우 작고,/ 심지어 어떤 종에는 눈이 없다.//
Similarly,/ biting lice do not have wings <since there is little use for them>.//
마찬가지로,/ biting lice는 날개가 없다/ (왜?) 거의 써먹을 일이 없기 때문에.//
Many biting lice have strong hooks on their feet/ to allow them to hold on to feathers or hair.//
많은 biting lice는 발에 강한 고리가 있다/ (어떤?) 그들이 깃털이나 털에 달라붙을 수 있게 해주는.//
사물S + allow A to do: 사물S덕분에 A가 do할 수 있게 되다
여기서는 Their strong hooks make it possible for them to hold on to feathers or hair. 정도가 된다.
These claws can be used to distinguish species that live on mammals,/<which have one claw on each foot>,/ from species that live on birds,/<which have two claws>.//
이런 발톱들은 이용될 수 있다/ (뭐에?) 포유동물에 기생하는 종을 구분하는 데에,/ (그게 어떤 건데?)((그런데 그 종은)) 각 발에 하나의 발톱을 가졌다,/(그런데 뭐와 구별해?) 새들에 기생하는 종과,/(어떤?) ((그런데 그 종은 두 개의 발톱을 가진 종이다.//
distinguish A from B : A를 B와[로부터] 구분하다
species는 단수, 복수 형태가 같다
2. John Gottman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John Gottman is a middle-aged man with owl-like eyes, silverly hair, and a neatly trimmed beard. He is short and very charming. And when he talks about something that excites him-which is nearly all the time-his eyes light up and open even wider. During the Vietnam War, he didn’t join the military, and there is still something of the ’60s hippie about him. He majored in psychology, but he also studied mathematics at MIT, and the rigor and precision of mathematics clearly moves him as much as anything else. When I met Gottman, he had just published his most ambitious book, a dense five-hundred-page paper called The Mathematics of Divorce, and he attempted to give me a sense of his argument, scribbling equations and graphs on a paper napkin until my head began to swim.
① 키가 작고 매우 매력적인 중년의 남자이다.
② 흥미로운 것을 말할 때 눈을 크게 뜨는 경향이 있다.
③ 베트남 전쟁 중에 군에 입대하지 않았다.
④ 수학의 엄밀함과 정밀도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⑤ 자신의 최고 야심작인 책을 출판하였다.
해석:
John Gottman is a middle-aged man/ with owl-like eyes, silverly hair, and a neatly trimmed beard.//
John Gottman은 중년 남자이다/ (어떤?) 올빼미 같은 눈, 은빛 머리, 깔끔하게 손질한 턱수염을 한.//
He is short and very charming.//
그는 키가 작고 매우 매력적이다.//
And when he talks about something<that excites him>/-<which is nearly all the time>-/his eyes light up and open even wider.//
그리고 그는 자신의 흥미를 자극하는 어떤 것에 대해 말할 때면,/ -다시 말해 거의 항상-/ 그의 두 눈은 반짝이며 훨씬 더 커진다.//
During the Vietnam War,/ he didn’t join the military,/ and there is still something of the ’60s hippie about him.//
베트남전쟁 동안,/ 그는 군에 입대하지 않았다,/ 그리고 그에게는 아직도 1960년대 히피족의 면모가 있다.//
He majored in psychology,/ but he also studied mathematics at MIT,/ and the rigor and precision of mathematics clearly moves him as much as anything else.//
그는 심리학을 전공했다,/ 하지만 그는 또한 MIT에서 수학을 공부했다,/ 그래서 수학의 엄밀함과 정확함이 분명히 그를 감동시킨다/ (얼마나?) 다른 어떤 것 못지않게.//
When I met Gottman,/ he had just published his most ambitious book,/ a dense five-hundred-page paper called The Mathematics of Divorce,/ and he attempted to give me a sense of his argument,/ scribbling equations and graphs on a paper napkin/ until my head began to swim.//
내가 Gottman을 만났을 때,/ 그는 막 그의 가장 야심작 책을 출판했다,/ (어떤?) ‘The Mathematics of Divorce’라는 500쪽에 달하는 치밀한 난해한 논문인,/ 그리고 그는 자신의 주장을 나에게 이해시키려 했다,/ (어떻게?) 종이 냅킨에 방정식과 그래프를 휘갈기면서/ (언제까지?) 나의 머리가 현기증이 나기 시작할 때까지.//
dense: 난해한 a dense piece of writing (난해한 글 한 편)
until은 “상황의 변화”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서도 ~ until my head began to swim. “그러다가 내 머리가 현기증이 나기 시작했다”로 할 수 있다.
swim: (현기증이 나는 것처럼) 어질어질하다
His head swam and he swayed dizzily. (그는 머리가 어질어질하고 현기증이 나며 몸이 휘청거렸다.)
3. wild buckwheat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Clay-loving wild buckwheat likes to grow in valley bottoms where the competition for water is less intense. It inhabits a part of Colorado that has a sparse human population. In suitable habitat, the rounded, cushion-shaped plant can be a dominant species living with other shrubs or shrublets. The wild-buckwheat has the potential to grow anywhere where there are characteristically barren clay hills. However, the species is seriously threatened by destruction or alteration of its habitat through agriculture, livestock grazing, off-road vehicle use, irrigation projects, residential development, oil and gas exploration, and potential mining. If the need for such activities were to increase, the clay-loving wild buckwheat would be a plant in danger and its habitat would suffer.
① 물에 대한 경쟁이 적은 계곡 바닥에서 서식하기를 좋아한다.
② 일반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서 서식한다.
③ 둥글둥글하고 생김새가 쿠션 모양이다.
④ 척박한 점토질의 언덕에서도 자랄 가능성이 있다.
⑤ 서식지의 파괴와 변형으로 위협에 처해 있다.
해석:
Clay-loving wild buckwheat likes to grow in valley bottoms/ where the competition for water is less intense.//
점토를 좋아하는 wild buckwheat은/ 계곡 밑바닥에서 서식하길 좋아한다/ (거기가 어떤 곳?) ((그런데 거기에서)) 물에 대한 경쟁이 덜 심한.//
It inhabits a part of Colorado/<that has a sparse human population>.//
wild buckwheat은 콜로라도 일부에서 서식한다/ (어떤?) 인구 밀도가 희박한.//
<In suitable habitat>,/ the rounded, cushion-shaped plant can be a dominant species/ living with other shrubs or shrublets.//
적절한 서식지에서,/ 둥글고 쿠션 모양의 이 식물은/ (어떠하다고?) 우세한 종이 될 수 있다/(어떤?) 다른 관목이나 작은 관목들과 더불어 사는.//
the rounded, cushion-shaped plant = the rounded and cushion-shaped plant
명사를 꾸며주는 한정적 용법의 형용사(서술적 용법의 형용사는 안됨) 는 “A and B 명사” 의 병렬구조에서 “A, B 명사”로 가능
주의: 단순 나열하는 형용사와는 구분 예) a tall beautiful stone building (a tall, beautiful, stone building (X))
The wild-buckwheat has the potential to grow anywhere/ <where there are characteristically barren clay hills>.//
wild buckwheat은 어디서나 자랄 가능성이 있다/ (어떤 곳?) 척박한 점토질의 특성이 있는 언덕이 있는 곳이면.//
However,/ the species is seriously threatened/<by destruction or alteration of its habitat>/<through agriculture, livestock grazing, off-road vehicle use, irrigation projects, residential development, oil and gas exploration, and potential mining.//
하지만,/ 이 종은 심각하게 위협당하고 있다/(어떻게?) 서식지의 파괴와 변형으로 인해/ (구체적으로 어떤 변형과 파괴?) 농업, 가축 방목, 노상 외 주행 차량의 사용, 관개 사업, 주택 개발, 석유와 가스 탐사, 그리고 잠재 광산의 채굴을 통한.//
however가 ‘그러나,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의미를 지닐 때는 뒤에 반드시 ,[comma]가 나와야 한다.
A, B, and C의 병렬구조
If the need for such activities were to increase,/ the clay-loving wild buckwheat/ would be a plant in danger/ and its habitat would suffer.//
만약 그런 활동의 필요성이 증가한다면,/ 점토를 좋아하는 wild buckwheat은 위기에 처한 식물이 될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서식지는 악화될 것이다.//
If the need for such activities were to increase, (가정법 과거: “그렇지 않겠지만 증가한다면”의 의미)
4. Automobile Association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In 2005 the Automobile Association(AA) celebrated its first 100 years. Founded in the days when cars were unreliable, rare novelties, the AA was established to offer motorists assistance with what was then a hobby for the wealthy. The original aim was to help motorists avoid police speed traps, but within a few years AA mechanics were hired to make roadside repairs to broken-down vehicles. As time has moved on, so has the AA. Nowadays cars are more reliable, and of course much more common, but the AA still offers a roadside repair service. The AA can also help in two ways: first, for a small fee a prospective buyer can have a car inspected by an AA mechanic. Second, the AA offers a car buyer’s website which provides prospective buyers with all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find a suitable used car.
① 자동차가 희귀할 당시 1900년에 창립되었다.
② 운전자들이 취미삼아 속도위반 단속을 하였다.
③ 자동차가 흔한 요즘은 수리서비스는 하지 않는다.
④ 수수료를 받지 않고 자동차 점검을 해준다.
⑤ 잠재구매자에게 중고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해석:
In 2005/ the Automobile Association(AA) celebrated its first 100 years.//
2005년에/ 자동차 협회는 100주년을 기념했다.//
Founded in the days when cars were unreliable, rare novelties,/ the AA was established to offer motorists assistance/ with what was then a hobby for the wealthy.//
당시에 설립된/(언제?) 자동차가 신뢰할 수 없고 희귀한 새로운 물건일 ((당시에)),/
AA는 설립되었다/ (왜?) 운전자들에게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어떤 도움?) 그 당시 부자들의 취미 활동이었던 것(운전)에.//
found – founded – founded : 설립하다 cf. find – found – found
novelty : 새로움, 참신한, 새로운 것[사람], 참신한 것[사람]
unreliable , rare novelties = unreliable and rare novelties
p.p~, S + V~. (Founded ~, the AA was established to ~) 이 때 p.p를 첫 번째 동사로 보고 comma뒤의 주절의 주어가 본동사(2 번째 동사)한다고 이해하면 된다. p.p와 주절의 S와는 수동의 관계임.
The original aim was [to help motorists avoid police speed traps],/ but<within a few years>/ AA mechanics were hired to make roadside repairs to broken-down vehicles.//
본래[원래]의 목적은/ (뭔데?) 운전자가 경찰의 과속 단속을 피하도록 돕는 것이었다,/ 그러나 몇 년 이내에/ AA 수리공들이 고용되어 고장 난 자동차를 길가에서 수리하였다.//
As time has moved on,/ so has the AA.//
시간이 흘렀고/ AA도 마찬가지였다.//
Nowadays/ cars are more reliable,/ and of course much more common,/ but the AA still offers a roadside repair service.//
요즘은/ 자동차가 더 믿을 만해졌다,/ 그리고 물론 훨씬 더 흔하지만,/ AA는 아직도 노변 수리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AA can also help in two ways:/ first,/ for a small fee/ a prospective buyer can have a car inspected by an AA mechanic.//
AA는 또한 두 가지 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데:/ 첫째,/ 적은 수수료로/ 잠재 구매자들은 AA 수리공에게 자동차 검사를 받을 수 있다.//
colon[ : ] ① 답을 줄 때(달리 표현할 때, 추가설명 할 때, 예를 제공할 때)
② 길게 인용할 때 comma[,]대신 사용
have a car inspected by an AA mechanic.
‘목적어를 ~한 상태로 만들도록 (…에게) 시키다’라는 의미를 지닌 <사역동사(have)+목적어+과거분사> 구문이 사용되었다.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수동의 관계이므로 과거분사가 왔지만, 목적어와 목적보어가 능동의 관계가 되면
<사역동사(have)+목적어+동사원형>이 된다. cf) ~ for a small fee a prospective buyer can have an AA mechanic inspect a car.
Second,/ the AA offers a car buyer’s website/ <which provides prospective buyers/ with all the information they need/ to find a suitable used car>.//
둘째,/ AA는 자동차 구매자 웹사이트를 제공한다/ (어떤?) ((그런데 그 웹사이트는)) 잠재구매자들에게 그들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주는/ (뭐 하는데 필요해?) 적절한 중고차를 찾기 위해.//
5. 다음 글에서 circumzenith arc에 관한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The circumzenith arc (CZA) is an optical phenomenon similar in appearance to a rainbow; but it arises from refraction of sunlight through flat ice crystals, generally in cirrus clouds, rather than from raindrops. The CZA has been called “a smile in the sky” since its first impression is that of an upsidedown rainbow. It forms no more than one-quarter of a circle centered on the same side as the sun. Its colors are from blue on the inside to red on the outside of the arc. Its colors are purer than those of the rainbow because there is much less color overlap in its formation. The CZA can only form when the sun is at an altitude lower than 32.2° and is brightest when the sun is at 22° above the horizon.
* cirrus cloud : 새털구름
① 빗방울에 의한 태양광 굴절로 생긴다.
② 원의 반 정도로만 보이는 것이 보통이다.
③ 안쪽은 빨간색, 바깥쪽은 파란색이 나타난다.
④ 색의 겹침이 적어 무지개보다 더 깨끗하게 보인다.
⑤ 태양의 고도가32.2°일 때 가장 선명하다.
해석:
The circumzenith arc (CZA) is an optical phenomenon/ similar in appearance to a rainbow;/ but it arises from refraction of sunlight/ through flat ice crystals,/ generally in cirrus clouds,/ rather than from raindrops.//
거꾸로 뜬 무지개는/ (뭔데?) 광학 현상이다/ (어떤?) 외형상 무지개와 비슷한;/ 그러나 이것은 생겨난다/(어떻게?)
햇빛의 굴절로부터/(어떤 굴절?) 납작한 얼음 결정체를 통과한,/(어디에서?) 보통 새털구름 내에서,/ 빗방울로부터((생겨나는 것이))가 아니고.//
The CZA has been called “a smile in the sky”/ since its first impression is/ that of an upsidedown rainbow.//
거꾸로 뜬 무지개는 ‘하늘의 미소’라고 불려 왔다/(왜?) 첫인상이 뒤집어진 무지개의 모습이기 때문에.//
.
It forms no more than one-quarter of a circle/ centered on the same side as the sun.//
그것은 원의 단지 1/4 정도만 형성한다/ (어떤 원?) 태양과 같은 방향에 중심을 둔 ((원)).//
Its colors are <from blue on the inside/ to red on the outside of the arc>.//
그 색깔은 원호 안쪽의 파란색으로부터 바깥쪽의 빨간색까지 있다.//
Its colors are purer/ than those of the rainbow/ because there is much less color overlap in its formation.//
거꾸로 뜬 무지개의 색깔들은 더 순수하다/ (뭐 보다?) 무지개의 색깔들 보다/ (왜?) 훨씬 적은 색의 중첩이 있기 때문에/ (어디에?) 그것의 형성에 있어.//
The CZA can only form/ when the sun is at an altitude lower than 32.2°/ and is brightest/ when the sun is at 22° above the horizon.//
거꾸로 뜬 무지개는 오로지 형성된다/ (언제?) 태양이 32.2도 미만의 고도에 있을 때만/ 그리고 가장 선명하다/ (언제?) 태양이 수평선 위로 22도에 있을 때.//
6. Asperger’s syndrome에 관한 다음 글의 내용과 일치하는 것은? 고난이도
Asperger’s syndrome is a disorder that, despite its discovery in 1944, had not reached a level of medical acceptance until the mid-1990s. This neurobiological developmental disorder appears in individuals across all intelligence levels and appears more frequently in males. It can range from mild to severe and appears in both children and adults.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are specially impaired in social interactions by their inability to read nonverbal cues. Oftentimes, a person with this syndrome might be hyper-sensitive to sounds, light, and smells. Additionally, these individuals prefer to live within predictable patterns and routines, where nothing ever changes. Other common symptoms of this disorder can include inappropriate or one-sided social interaction, clumsy body language, lack of eye contact, awkward movements, and strange posture.
① 발견되자마자 의학적으로 인정을 받은 장애이다.
② 지능과는 상관없이 여성에게 더 자주 나타난다.
③ 비언어적인 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한다.
④ 변화 없는 따분한 생활을 아주 싫어하게 만든다.
⑤ 부적절하거나 일방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이기도 한다.
해석:
Asperger’s syndrome is a disorder/ that, despite its discovery in 1944,/ had not reached a level of medical acceptance/ until the mid-1990s.//
Asperger 증후군은 장애이다/ (어떤?), 1944년에 발견했음에도 불구하고, 의학적인 인정을 받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한,/(언제까지?) 1990년대 중반까지.//
until은 ‘상황의 변화’
had not reached a level of medical acceptance until the mid-1990s. 의학적인 인정을 받는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다가/ 그러다가 1990년대 중반이 되어서 상황이 바뀐 것이다. 즉, 인정을 받기 시작한 것이다.
This neurobiological developmental disorder/ appears in individuals across all intelligence levels/ and appears more frequently in males.//
이 신경 생물학적인 발달 장애는/ (어찌하는데?) 나타난다/ (어디에?) 모든 지능 수준의 개인들에게/ 그리고 나타난다/ (어떻게?)남성들에게 더 자주.//
It can range from mild to severe/ and appears in both children and adults.//
그것은 가벼운 것에서 심각한 정도의 범위까지 걸쳐 있으며/ 나타날 수 있다/(어디에?) 아이들과 어른들 모두에게서.//
range from A to B (양, 크기 등의 범위가) A에서 B사이이다[A에서 B까지 다양하다]
People with Asperger’s syndrome/ are specially impaired in social interactions/ by their inability to read nonverbal cues.//
Asperger 증후군이 있는 사람들은/ (어떻다고?) 특히 손상을 입는다/ (어디에서?) 사회적인 상호작용에서/ (어떻게?) 그들의 무능력에 의해서/ (어떤?) 비언어적인 신호를 읽지 못하는.//
Oftentimes,/ a person with this syndrome/ might be hyper-sensitive to sounds, light, and smells.//
종종,/ 이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지나치게 민감할 수 있다/ (어디에?) 소리, 빛, 그리고 냄새에.//
명사(구) with 명사(구): 이럴 경우 with 는 having의 의미
a person with this syndrome = a person having this syndrome = a person who has this syndrome
A, B, and C: 정보확장 (병렬 구조)
Additionally,/ these individuals prefer to live within predictable patterns and routines,/ where nothing ever changes.//
게다가,/ 이러한 개인들은 더 좋아한다/ (뭐를?) 살아가는 것을/(어떻게 살아가?) 예상할 수 있는 방식과 일상적으로 되풀이 되는 일 안에서,/ (그게 어떤 경우인데?)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
Other common symptoms of this disorder/ can include inappropriate or one-sided social interaction,/ clumsy body language,/ lack of eye contact,/ awkward movements,/ and strange posture.//
이 장애의 다른 공통적인 증상들은/ (어떻다고?) 포함할 수 있다/ (뭐를?) 부적절하거나 일방적인 사회적 상호작용, 어색한 신체 언어, 시선 접촉의 결핍, 어색한 움직임, 그리고 이상한 자세 등을.//
A, B, and C: 정보확장 (병렬 구조)
'EBS수능연계교재 동영상 강의(곧 업로드) > EBS 수능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6. 순서 파악 (0) | 2012.10.31 |
---|---|
15. 제목 추론 (0) | 2012.10.29 |
13. 도표 파악(도표가 안나올 경우 첨부파일을 참조해주세요.) (0) | 2012.10.26 |
12. 주제 추론 (0) | 2012.10.25 |
11. 어휘 추론 (0) | 2012.1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