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장'에 해당되는 글 1

  1. 2012.09.20 01장 핵심내용 파악하기

01 핵심내용 파악하기 & 글의 전개방식

핵심내용 파악하기 유형

글을 읽을 제일 중요한 것은 핵심내용을 파악하는 것이다. 그래서 수능에서 제일 많이 나오는 유형이다. 핵심내용을 물어보는 문제는 크게 아래의 8가지 세부유형으로 나온다. 아래의 내용을 달달달 외우자.

1. 주제(Topic) 글은 무엇에 관한 글인가?” 대한 답이다.
2.
요지(Main Idea)필자가 (주제를 가지고) 궁극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이다.
                                   
ð 요지 = 주제 + 필자의 주장 or 의견
3.
제목(Title) 주제나 요지를 함축한 표현이다
4.
주장: 필자가 주장하는 ð 주제에 대한 주장이니까 결국 요지와 같은 문제이다.
5. 시사하는 : Storytelling(이야기체) 글에서는 글이 시사하는 바로 가장 적절한 것은?” 형태로
                       
많이 나온다.
(
수능에서는시사하는 = 넌지시 말해주는 교훈적인 내용이다. 그래서 시사하는 바를 교훈과 같이 취급해도 무방하다.)                                                                         *시사하다=넌지시 알려주다
6.
교훈
7.
속담: 지문 속에 “   ”(따옴표) 쳐져 있고 속담이면 핵심내용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8.
글의 목적

 

 

핵심내용 파악하기(주제, 요지, 제목, 주장, 교훈, 시사하는 , 속담, 목적 ) 글의 대의를 파악하는 문제(General Questions)로써 크게는 해결방법이 같다. 단지 지문으로 나오는 글의 종류와 성격에 따라 문제를 약간 달리할 따름이다. 그러면 핵심내용 파악하기 유형에서 공통적으로 명심해야 사항들을 살펴보자.

핵심내용 파악하기유형(주제, 요지, 제목, 주장, 교훈, 속담, 시사하는 , 글의 목적 ) 문제 풀이에서 공통적으로 명심해야 사항

1. 단락의 핵심내용은 지문의 내용보다 범위가 너무 넓어(too general) 되고 너무 좁아(too specific) 되고 반드시 일치해야 한다. , 핵심내용은 단락의 내용에 비해 너무 포괄적이어도 안되고 너무 세부적이어도 안되며 적절해야 한다.

2. 하나의 단락에서 하려는 말은 가지 밖에 없다. 아무리 어렵고 복잡한 단락이라도 속에서 전하고자 하는 말은 하나 밖에 없다. 가지를 여러 다른 표현으로 바꾸어 써서 독자들로 하여금 흥미를 지속시키게 따름이다. , 같은 말을 다르게 재표현(Paraphrasing) 하는 것이다. 특히, 핵심어는 반복되어 나오는데 (그대로 반복되는 경우도 있지만) 대게 다른 표현으로 바뀌어 반복 등장한다. 모든 영어 시험에 이용되는 핵심 기법 하나가 Paraphrasing(재진술)이다. ð 같은 내용 다른 표현에 주의하자!

3. 문장에 주목하라! ð 문장을 읽으면서 무엇에 관한 글인지 생각하며 읽으라!
보통 문장부터 글의 소재가 나오게 된다. 그러면 이야기 재료를 가지고 글쓴이가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하는지 생각하면서 읽으라.

4. 글의 종류를 파악하며 읽자. 문장을 읽으면 무슨 종류의 글인지 대체로 파악할 있다. 물론 글의 종류에 관계 없이 지문을 빠르고 정확하게 읽고 문제를 풀어도 되지만, 논설문, 설명문, Storytelling(이야기체 : 소설, 수필, 일화, 경험담, 우화 ) 글의 종류에 따라서 문제풀이 방식을 달리 하는 효율적일 때가 많다. 예를 들어, 논설문이나 설명문은 주제문이 드러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Skimming Scanning 적절히 섞어가며 핵심내용을 파악하면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Storytelling 글을 읽고 핵심내용을 추론해 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일반적으로 글을 읽고 풀어야 한다. 글의 종류를 파악하기가 애매한 경우는 크게 논설문과 설명문을 하나의 식구로 분류하고 Storytelling(이야기체 ) 다른 식구로 양분해서 풀어도 된다.

5. 글의 전개방식을 생각하며 읽자! 항상 문장과 문장 간의 논리관계를 생각하며 글을 읽는 습관을 들이자. 특히 연결사에 주목하고 연결사를 최대한 활용하라. 이런 연습이 되어 있으면 글의 논리가 보이게 되어 글쓴이의 의도를 보다 빠르게 파악할 있다.

6. 선택지 A덩어리 B덩어리로 묶어서 각각에 해당되는 내용을 소거해 나가면 답은 명확하게 나온다.

사실, 어떤 종류의 글이든 핵심내용은 있게 마련이므로, 지문을 읽을 때는 항상 사항들(6번은 제외) 생각해야 한다.
참고) Scanning (찾아 읽기): 주어진 물음에 대한 답을 글의 특정 부분에서 가능한 빨리 찾아내는 독서기법
     Skimming(
훑어 읽기): 중요한 부분[핵심내용] 읽은 담겨 있는 뜻을 파악하는 방법이다. 내용의 중요한 포인트(요점,
                        
논지) 파악하여 저자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파악하는 독서기법이다. (중요 부분만 읽어도 핵심내용
                        
파악되는 경우 굳이 부연설명, 예시 등을 읽을 필요가 없겠다. , 글쓴이의 의도가 파악이 되면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해 써놓은 수식어구 들은 굳이 보지 않아도 된다.)

 

 

 

 

핵심내용 파악하기(General Questions) 문제의 선택지 특징
정답은 새로운 말로 재표현(Paraphrasing)하고 오답은 지문 속에 등장한 표현을 그대로(Repeated Words) 또는 ±α 소리한다. , 정답을 다른 말로 재표현 하기 힘든 경우에는 원래 표현을 그대로
(
경우에는 문제가 쉬움)

 

 

 

 

핵심내용 파악하기(General Questions) 문제의 선택지 구성과 풀이법
선택지를 A덩어리, B덩어리 부분으로 나누어 묶는다. A덩어리, B덩어리에 대해 각각 해당사항이 없는 항목을 제거해 나가면 쉽고 분명하게 답이 나온다.

 

 

 

 

 

핵심내용을 묻는 문제(General Questions) 오답유형
1)
범위가 너무 넓거나 너무 좁다. (Too General or Too Specific)
2)
논점일탈의 오류를 범하는 (본문에서 언급된 표현(단어)이나 핵심어를 언급했는데 정작 논점은 

   벗어난 )
) 선택지 구성에서 A, B덩어리에서 A 핵심어를 언급했는데 B 살짝 논점을 벗어난 말을 하는

   경우

 

 

 

'수능모의고사 영어 해설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장 제목 추론  (0) 2012.09.24
03장 요지파악  (0) 2012.09.23
02장 주제 추론  (0) 2012.09.22
글의 전개 방식  (0) 2012.09.21
수능영어 독해시험 분류  (0) 2012.08.29
posted by whowony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