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의 전개 방식
글의 전개 방식을 알아야 하는 이유: 글에서 중요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이 구분되어 글의 핵심 내용이 잘 파악되고, 그 만큼 글이 쉽게 다가온다. 모든 글은 논리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평소에 글의 전개방식을 생각하며 읽는 훈련을 하자. 그러면 점차 글의 구조와 논리가 보이게 되어 글이 쉽고 명확하게 이해될 뿐만 아니라, 자신이 글을 쓸 때에도 자신의 논지를 명확하게 펼 칠 수 있게 된다. 글의 전개 방식은 크게 아래와 같다.
글의 전개 방식
예시, 상술, 부연설명
|
하나의 단락에는 하나의 주제와 하나의 요지밖에 없다. (p17참고) 즉, 하나의 단락에는 하나의 할 말 밖에 없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필자가 어떤 특정 논리를 효과적으로 펴기 위해서 특정한 글의 패턴을 띄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 이것들을 하나하나 철저히 파악해서 내 것으로 만들면 글의 구조가 한 눈에 들어와 어려운 글도 보다 쉽고 명료하게 다가올 것이다.
이어서 글의 전개 방식에 관련한 연결사의 쓰임, 글의 구조 및 주제문의 특징에 관해서 설명해 놓았다. 철저히 파악해서 자기 것으로 만들기 바란다.
글의 전개 방식에 따른 연결사의 쓰임과 글의 구조
주)연결어(구)를 통틀어 여기서는 ‘연결사’라고 하겠다.
전개방식 |
연결사 |
전개방식에 따른 글의 구조 |
주제문의 특징 |
||
예시 (Example) |
예를 들면: for example/ for instance/ as an illustration/ by way of illustration/ as an example |
주제문 ⇩ 연결사 ⇩ 구체적인 예시 |
예시를 나타내는 연결사 앞부분이 주제문이다 |
||
인과 (Cause & Effect) |
따라서, 그래서, 그러므로 : Therefore/ Thus/ Accordingly/ so/ Hence/ For this reason/ That’s why/ This is why/ It’s why
결과적으로 : In conclusion/ Consequently/ As a result/ As a consequence |
원인 ⇩ 연결사 ⇩ 결과 |
원인 연결사 결과 구조에서는 결과가 중요하다 |
||
Because/ Because of/ Due to/ The main reason for this/ Owing to/ Thanks to This is because/ It’s because/ That’s because/ The reason why |
결과 ⇩ 연결사 ⇩ 원인 |
결과 연결사 원인 구조에서는 원인이 중요하다 |
|||
비교 / 대조 (Comparison & Contrast) |
마찬가지로, 같은 방법으로 : Likewise/ Similarly/ In the same way/ 그에 비해: By [In] comparison |
대상A ⇩ 연결사 ⇩ 대상B |
대상 A 와 B 사이의 공통점이 주제 |
||
그와 대조적으로: In[By] contrast 다른 한편으로는: On the other hand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나: nevertheless/ nonetheless/ however/ but/ yet/ still/,though, * ,though,는 양쪽에 ,(comma)가 있고 소문자일 때 ‘그러나’의 뜻임 그와는(정)반대로: On the contrary/ Conversely 반면에: while/ whereas (정반대) 대신에: Instead ~와 다르게: Unlike 처음에는 ~그런데 나중에는: At first [Initially]~, but ~. In the beginning~ 그게 아니라 오히려, 실제로는: Actually/ In fact(cf.실제로, 사실상=In effect와는 다름) cf.
|
대상A ⇩ 연결사 ⇩ 대상B |
대상 A 와 B 사이의 차이점이 주제
특히 A와B가 반대를 나타낼 경우에는 연결사 뒷부분이 중요 일반적 진술에서 종속접속사 Although, Even though, Though 등이 이끄는 종속절 다음의 주절이 주제나 요지를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
|||
문제제기 (Problem) ⇩ 해결책제시 (Solution) |
Problem & Solution구조는 연결사 보다는 문제점과 그 해결책을 찾는 것이 제일 중요 |
문제점(Problem) ⇩ 해결책(Solution) |
문제점이 주제이고 그 해결책이 요지이다. (문제점=주제 해결책=요지) |
||
통념(Myth) ⇩ 비판 (Criticism/ Truth) |
그러나: But/ However/ ,though, * ,though,는 양쪽에 ,(comma)가 있고 소문자일 때 ‘그러나’의 뜻임 그게 아니라 오히려, 실제로는: Actually / In fact (cf. 실제로, 사실상 = In effect 와는 다름) |
통념(Myth) ⇩ 역접연결사 ⇩ 비판 or 사실 (Criticism or Truth) ⇩ 부연설명 |
비판 또는 사실이 요지이다. (비판 or 사실=요지) |
||
질문 (Question) ⇩ 답(Answer) |
Question & Answer구조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제일 중요 |
질문=주제(Topic) ⇩ 답=요지 (Main Idea) |
질문이 주제이고 그 답이 요지이다. (질문 = 주제 답 = 요지) |
||
열거(절차순) (Listing) |
First/ second/ third/ finally/ after/ next/ at this stage/ then |
주제문 ⇩ 연결사+열거항목1 ⇩ 연결사+열거항목2 … |
절차나 과정의 표현 |
||
열거(시간순) (Ordering) |
First/ then/ finally/ at the same time/ when/ while/ after/ before/ until/ in the 1990s |
역사적 사건, 인물의 생애 등 |
|||
요약 |
요컨대(류): In brief/ In short/ In a word/ In summary/ To sum up/ In a nutshell/ In sum |
연결사 ⇩ 주제문 |
결론을 이끄는 연결사 뒤가 중요 양괄식 or 미괄식 |
||
환언/부연 |
namely(즉)/ that is (to say) (다시 말해서)/ in other words (다시 말해서) |
주제 ⇩ 연결사 ⇩ 부연설명(주제를 보다 명확히 설명함) |
|||
첨가 |
게다가, 또한 : also/ besides/ moreover/ what is more/ as well/ in addition/ additionally/ furthermore(더 나아가) |
앞에 이미 같은 (비슷한) 내용 언급됨 ⇩ 연결사 ⇩ 같은 무게 or 점층적 |
|||
기타 |
반어법, 수사의문문(rhetorical question) |
수사의문문이 나오면 요지인 경우가 많다 |
* 수사의문문은 답변을 기대하지 않는 질문으로 극적 효과를 노리거나 비아냥거릴 때 또는 희극적 효과를 표현하기 위해 쓰는 경우가 많다. 예) Who knows? (누가 알아? → 아무도 모른다는 말)
* 수사의문문은 일종의 반어법을 쓰는 것이다. 예를 들어, 친구가 어떤 얘기를 하는데 듣고 싶지 않을 때, “미안한데, 지금 들을 시간이 없다.”등의 말로 할 수 있는 것을 “누가 얘기해 달라고 했니?”라고 하면 훨씬 더 강한 말이 된다. 수사의문문은 이처럼 같은 의미를 훨씬 더 강하게 전달하기 때문에 그 안에 요지를 담게 되는 경우가 많다.
'수능모의고사 영어 해설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장 제목 추론 (0) | 2012.09.24 |
---|---|
03장 요지파악 (0) | 2012.09.23 |
02장 주제 추론 (0) | 2012.09.22 |
01장 핵심내용 파악하기 (0) | 2012.09.20 |
수능영어 독해시험 분류 (0) | 2012.08.29 |